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수익화 A~Z까지

네이버 vs 구글 SEO 핵심 차이점과 실적 분석 – 블로그 수익화 전략

by N잡러 다솜 2025. 4. 19.

안녕하세요, 다솜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ChatGPT 프롬프트를 활용한 블로그 콘텐츠 아이디어 관리법을 다뤘었죠. 오늘은 블로그 수익화의 큰 줄기를 결정짓는, 아주 중요한 주제를 들고 왔어요. 바로 ‘네이버 vs 구글 SEO, 뭐가 다를까?’, 그리고 실제로 어디서 더 수익이 나오는지에 대한 실전적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저도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땐 ‘글을 잘 쓰면 사람들이 보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이었는데요. 알고 보니 플랫폼마다 검색 노출의 원리부터 수익화의 흐름까지 전혀 달랐고, 그 차이를 모르면 실질적인 가치를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SEO의 중요성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즉 검색 최적화는 사람들이 내 블로그 글을 찾게 해주는 모든 전략의 핵심이에요.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화든, 제휴 마케팅이든, 방문자가 있어야 수익이 생기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사람들이 흔히 ‘SEO를 공부하면 된다’라고 하지만  ‘어느 플랫폼에서의 SEO냐’에 따라 적용법이 달라진다는 사실! 그래서 지금부터 하나씩 파헤쳐 볼게요.


🟢 네이버 SEO의 특징

✔︎ 1. 블로그 도메인 신뢰도 = 노출 순위

네이버는 자사 플랫폼인 ‘네이버 블로그’ 중심의 생태계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tistory.com, brunch.co.kr, velog.io 같은 외부 블로그는 상위 노출에 한계가 있어요.

즉, 네이버에서 잘 보이고 싶다면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해야 해요.

✔︎ 2. 주제보다 ‘사용자 행동 데이터’ 우선

네이버는 글의 품질보다는 조회수, 공감, 댓글, 체류 시간 같은 사용자 반응에 따라 노출 순위가 바뀌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초반에 많은 유입을 확보하거나, 이웃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상호작용 전략이 필요해요.

✔︎ 3. 검색 알고리즘이 ‘모호’함

구글처럼 명확한 SEO 원칙이 공개되어 있지 않아서, 경험을 통한 노하우가 훨씬 중요하게 작용해요. ‘이 키워드는 이 정도 길이에 이쯤에 배치해야 해’ 같은 팁이 경험에서 나와요. 저는 구체적인 태그를 통해 노출 수를 늘릴 수 있었고 구체적인 내용들을 작성하니 방문자 유입수가 늘었어요.


🔵 구글 SEO의 특징

✔︎ 1. 콘텐츠 중심, 블로그 플랫폼 상관 없음

구글은 글이 얼마나 유익한가, 구조가 정돈돼 있는가를 가장 중요하게 봐요.
플랫폼보다 콘텐츠를 먼저 평가하기 때문에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브런치 등 어떤 플랫폼이든 상위 노출이 가능해요.

✔︎ 2. 키워드 배치와 메타데이터 중요

제목(H1), 소제목(H2, H3), 본문 키워드 반복, 글 길이, 내부 링크 구조 등 SEO 규칙을 따르면 노출 확률이 높아져요.
예를 들어 애드센스 승인방법을 키워드로 잡았다면, 제목, 서론, 본문 중간에 2~3회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게 좋아요.

✔︎ 3. 장기적 트래픽, 글로벌 유입 가능

구글은 하루만 반짝 인기 있는 글보다, 6개월 뒤에도 검색되는 글을 높이 평가해요.
또 외국인 유입도 가능하니 해외 트래픽 기반 애드센스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실적 비교: 네이버 vs 구글, 어디서 수익이 더 날까?

1. 방문자 수

플랫폼하루 평균 방문자주요 유입 경로
네이버 블로그 500~1500명 이웃/검색/카페 공유
티스토리 (구글 SEO) 100~1000명 구글 검색 95% 이상

네이버는 빠른 성장 가능성이 있고,
티스토리는 천천히 쌓이지만 ‘꾸준히’ 검색 유입이 발생해요.

2. 애드센스 수익

네이버 블로그는 애드핏 중심이고,
티스토리는 구글 애드센스로 광고 수익을 냅니다.

제가 운영하는 티스토리 기준으로 보면,
1000명 방문 기준 평균 200~500원 수준의 수익이 발생해요.
하지만 미국/유럽 유입 비중이 높아지면 클릭당 단가(CPC)가 훨씬 높아져요.

 3. 초보자 추천 전략

  • 단기 성과 원하면 네이버 블로그 + 애드핏
  • 장기적인 수익 원하면 티스토리 + 구글 SEO + 애드센스

물론 두 플랫폼을 병행하는 것도 좋지만, 시간과 리소스를 분산하게 되는 점을 꼭 고려해야 해요.

제가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쓰다가 수익화에 어려움을 느끼고 구글 티스토리로 넘어왔어요.
개인적으로 티스토리에 집중해서 ‘검색형 글’ 위주로 쌓는 전략을 선택한거죠.


✍️ 마무리하며 – 나의 방향은?

블로그 수익화는 단순히 글을 쓰는 것 이상으로,
누구를 위한 콘텐츠를 어디에 어떻게 노출시킬까’를 고민해야 하는 일인 것 같아요.

저는 처음엔 네이버 블로그로 시작했다가, SEO의 본질을 알게 되면서
티스토리와 구글 SEO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전환했고, 지금은 애드센스를 통한 꾸준한 수익을 쌓아가고 있어요.

다음 글에서는 블로그 초기에 꼭 써야 하는 콘텐츠 기획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첫 10개 글’로 방문자를 붙잡는 방법, 기대해주세요!